연구

입양연구회(KAR)


국내외 입양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해 관련 자료의 학습과 토론을 통해 입양에 대한 이론과 경험을 통합하고, 이를 토대로 입양 관련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주제에 대해 연구로 나아가는 전문 활동입니다.

입양부모와 입양에 대해 관심을 갖는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모임입니다.

2024-10 입양연구

김다진
2024-10-21


1. 목표: 입양 연구 

2. 주제: 논문 스터디 & 2024 입양문화교육 교재개발

3. 토론내용: 

가. 입양의 상징적 위기: 인기 미디어의 어젠다 세팅 (발표: 김소진)

1) Waggenspack, B. M. (1998). The symbolic crises of adoption: popular media’s agenda setting. Adoption Quarterly, 1(4), 57-82. 

2) “입양”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가족을 구성하는 것의 방법이라는 용어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일반적이고 대중적으로 입양과 입양가족, 입양아동에 대한 

긍정적 표현의 상징적 방향성이 부족해지면 입양과 관련한 오해들이 발생하게 

된다.

3) 1996년 7월-1997년 7월 1년간 CNN, ABC 그리고 NPR, 등의 방송매체를 통해

서 노출된 입양과 관련한 미디어 건에 대한 분류를 보면, 입양이 포함된 최근 의 이야기일수록 긍정적인 서사의 스토리들이 늘어났다. 그러나 균형적으로 5 년간의 언론 확인을 토대로 확인했을 때는 부정적인 이야기의 분포와 긍정적인

이야기 내용의 점유율이 2:1의 비율로 확인되었다. 

4) 미디어의 입양 표현들

① 외국인들이 자녀를 버리는 이유는 그 자녀를 사랑하지 않거나 혹은

입양 대상 아동을 경제적 보상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② 외국인들은 입양을 건강하지 않은 아이를 버리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보고

있다. 

③ 정치적 죄수나 생모의 동의 없이 입양 상황에 놓인 가족들로부터 아이가 

납치된 것이라고 믿는다.

④ 버려진 아이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혈통들로 입양을 원하는 부모들에게는 

다른 선택지가 있어야 한다. 

5) 입양아동에 대한 이미지가 옳지 않다는 학술적인 근거들이 제시됨에도 일반대중

들은 미디어가 제시한 이미지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미디어의 능력으로 

아젠다를 설정하여 우리에게 인지 패턴을 제시하게 된다.

6) 따라서 긍정적인 입양 용어(Positive Adoption Language)의 사용이 중요하다. 

 

나. 입양가족론 (발표: 임은주) 

1) 1) 1) 입양 동기: 무자녀 입양(난임), 유자녀 입양(이타적 실천), 재혼가족 입양

2) 입양부모의 심리정서: 새로운 가족 형성하는 일련의 변화에 따른 심리적 경험,

입양 후 불안함과 안도감, 우울감과 성취감, 입양 사실 공개에 대한 두려움 등,

임신과 출산 포기로 인한 좌절감과 입양을 통해 자녀를 얻은 기대감, 자존감 회복 등, 상실감, 슬픔과 애도 등 

3) 입양 부모 역할: 입양아동을 가족의 일원으로 수용하고 통합 적응시키기, 애착형성과 입양말하기 

4) PAT를 통해 살펴 본 입양부모의 자녀양육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