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7월 7일 입양연구회
♡이옥주 선생님께서 "입양부모가 경험한 입양가정 내 형제관계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입양자녀와 비입양자녀가 혼합된 형제관계를 중심으로-(권지성,안재진,최운선, 2014)" 논문을 발제해주셨습니다. 긴 내용의 질적사례연구를 깔끔하게 잘 정리해 주셨습니다.
-연구의 목적은 입양부모가 경험한 입양가정 내 형제관계 이해
-다섯 가족을 선정하여 각 가족의 입양모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함
-사례 내 분석으로 형제관계 현상을 기술하고 발견된 이슈들을 분석하였으며, 사례 간 분석에서는 전체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주요 이슈들을 주제로 통합함
-사례 간 분석으로 나타난 주제 7가지: 첫 단추 잘꿰기, 통제가능하지만 예측불가능한 선택권, 제자리 찾아가기, 다르다는것과 닮았다는것의 의미, 공평함이라는 난제, 생애최대의 라이벌,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봐서 그래
-연구결과 토대로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지침 제언: 가족중심 사례관리, 부모교육에 적용, 가족구조와 기능의 역동성 상세히 반영한 입양절차와 서비스, 지지체계 및 멘토역할 활성화, 대중매체 활용한 입양인식 개선과 확대
♡위 논문의 저자이신 최운선 교수님(남서울대 아동복지학)과 함께 논문 연구에 대한 질의 응답과 입양 소통의 시간을 갖았습니다.
-질적 사례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
-형제관계는 아동 발달단계와 맞물려 계속해서 '역동적'으로 변함
-기존 자녀(비입양 자녀)들의 입양이슈 이해 필요성
-형제관계와 부모자녀관계는 상호작용함, 똑같이 보다는 '특별하게' 대하기
-입양자녀의 '애도' 저변의 감정(분노, 외로움)이 해결될 때 관계가 온전해짐
-선택이냐 덫이냐! 양날의 검!! 입양부모의 자각과 태도의 중요성
-시간속에서 자기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부모, 형제의 이해와 노력 필요
-과연 아동에게 최선의 배치는 무엇일까?
-어쩔 수 없는 입양현실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개입양 후 20여년...지나온 시간들을 돌아보며 자각과 통찰속에서 미래로 나아갑니다. 개인 입양심리에서 확장하여 가족체계론, 사회복지론적 입양을 고찰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2022년 입양연구 계획을 점검하고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연구에 착안하기로 하였습니다.
연구회는 항상 오픈되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무더위에 모두 건강하세요 😊
♡이옥주 선생님께서 "입양부모가 경험한 입양가정 내 형제관계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입양자녀와 비입양자녀가 혼합된 형제관계를 중심으로-(권지성,안재진,최운선, 2014)" 논문을 발제해주셨습니다. 긴 내용의 질적사례연구를 깔끔하게 잘 정리해 주셨습니다.
-연구의 목적은 입양부모가 경험한 입양가정 내 형제관계 이해
-다섯 가족을 선정하여 각 가족의 입양모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함
-사례 내 분석으로 형제관계 현상을 기술하고 발견된 이슈들을 분석하였으며, 사례 간 분석에서는 전체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주요 이슈들을 주제로 통합함
-사례 간 분석으로 나타난 주제 7가지: 첫 단추 잘꿰기, 통제가능하지만 예측불가능한 선택권, 제자리 찾아가기, 다르다는것과 닮았다는것의 의미, 공평함이라는 난제, 생애최대의 라이벌,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봐서 그래
-연구결과 토대로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지침 제언: 가족중심 사례관리, 부모교육에 적용, 가족구조와 기능의 역동성 상세히 반영한 입양절차와 서비스, 지지체계 및 멘토역할 활성화, 대중매체 활용한 입양인식 개선과 확대
♡위 논문의 저자이신 최운선 교수님(남서울대 아동복지학)과 함께 논문 연구에 대한 질의 응답과 입양 소통의 시간을 갖았습니다.
-질적 사례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
-형제관계는 아동 발달단계와 맞물려 계속해서 '역동적'으로 변함
-기존 자녀(비입양 자녀)들의 입양이슈 이해 필요성
-형제관계와 부모자녀관계는 상호작용함, 똑같이 보다는 '특별하게' 대하기
-입양자녀의 '애도' 저변의 감정(분노, 외로움)이 해결될 때 관계가 온전해짐
-선택이냐 덫이냐! 양날의 검!! 입양부모의 자각과 태도의 중요성
-시간속에서 자기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부모, 형제의 이해와 노력 필요
-과연 아동에게 최선의 배치는 무엇일까?
-어쩔 수 없는 입양현실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개입양 후 20여년...지나온 시간들을 돌아보며 자각과 통찰속에서 미래로 나아갑니다. 개인 입양심리에서 확장하여 가족체계론, 사회복지론적 입양을 고찰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2022년 입양연구 계획을 점검하고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연구에 착안하기로 하였습니다.
연구회는 항상 오픈되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무더위에 모두 건강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