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표: 입양 연구
2. 주제: 입양 논문 & 입양상담 사례연구
3. 진행내용:
가. 애착외상 아동의 게슈탈트 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홍민자)
-게슈탈트 놀이치료를 통한 애착 외상의 치유와 애착관계의 향상은 아동의 자기감 형성과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가족놀이를 통한 가족 간의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경험은 가족관계의 향상을 가져옴.
-애착관계의 회복과 향상을 위해 가정방문 가족놀이를 진행한 것으로 가족놀이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줌.
-인터넷 과몰입으로 가정에 고립되어 있으면서 상담실에 찾아오지 않는 아동을 위한 치료적 접근으로 가정으로 찾아가는 가정방문 가족놀이를 실시한 것으로 찾아가는 상담에서의 임상의 실제를 보여줌.
나.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배지연)
상당수의 전공교재에서 입양실태에 대한 내용에서 실제와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음
입양과 입양아, 입양가족에 대한 근거가 경험적·이론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거에 기반하지 않은 내용 및 편향된 설명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접근의 개선이 필요함
공개입양 및 입양특례법 이후 급격한 입양문화의 변화가 있으므로 공개입양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입양 전과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양육과정에서의 독특성 및 발달과업, 공개입양문화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 대처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의 보완이 요구됨.
4. 토론내용:
가. 애착외상 아동의 게슈탈트 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입양아동은 주양육자의 변경과 몇 번의 분리 및 배치 과정에서 애착외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입양아동의 애착외상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문지방 상담처럼 입양가족 적응에 있어 가족놀이치료를 활용할 수 있음.
-가족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음.
나.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전공서적에서 입양 부분을 적절히 기술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입양문화의 개선을 위해 전문가 집단 양성에서부터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고, 관점을 수정하는 부분이 중요함.
5. 성과/결과:
-입양문화 개선을 위한 입양문화강사 양성의 필요성
-입양 용어의 정리 필요
-입양 전문가들의 통합된 관점 공유 필요
◎차기 계획: 12월 1일



1. 목표: 입양 연구
2. 주제: 입양 논문 & 입양상담 사례연구
3. 진행내용:
가. 애착외상 아동의 게슈탈트 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홍민자)
-게슈탈트 놀이치료를 통한 애착 외상의 치유와 애착관계의 향상은 아동의 자기감 형성과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가족놀이를 통한 가족 간의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경험은 가족관계의 향상을 가져옴.
-애착관계의 회복과 향상을 위해 가정방문 가족놀이를 진행한 것으로 가족놀이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줌.
-인터넷 과몰입으로 가정에 고립되어 있으면서 상담실에 찾아오지 않는 아동을 위한 치료적 접근으로 가정으로 찾아가는 가정방문 가족놀이를 실시한 것으로 찾아가는 상담에서의 임상의 실제를 보여줌.
나.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배지연)
상당수의 전공교재에서 입양실태에 대한 내용에서 실제와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음
입양과 입양아, 입양가족에 대한 근거가 경험적·이론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거에 기반하지 않은 내용 및 편향된 설명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접근의 개선이 필요함
공개입양 및 입양특례법 이후 급격한 입양문화의 변화가 있으므로 공개입양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입양 전과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양육과정에서의 독특성 및 발달과업, 공개입양문화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 대처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의 보완이 요구됨.
4. 토론내용:
가. 애착외상 아동의 게슈탈트 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입양아동은 주양육자의 변경과 몇 번의 분리 및 배치 과정에서 애착외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입양아동의 애착외상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문지방 상담처럼 입양가족 적응에 있어 가족놀이치료를 활용할 수 있음.
-가족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음.
나.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전공서적에서 입양 부분을 적절히 기술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입양문화의 개선을 위해 전문가 집단 양성에서부터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고, 관점을 수정하는 부분이 중요함.
5. 성과/결과:
-입양문화 개선을 위한 입양문화강사 양성의 필요성
-입양 용어의 정리 필요
-입양 전문가들의 통합된 관점 공유 필요
◎차기 계획: 12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