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표: 입양 연구
2. 주제: 입양 논문 & 입양문화강사 프로그램 협의
3. 진행내용:
가.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전세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2022) (발표: 김다진)
1) 입양부모로의 전환 초반에 연구자는 외재화된 집단적 입양부모 정체성을 자신과 동일시하였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내면 세계를 향해 중심축을 이동하여 개별화된 입양부모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2) 연구자는 입양부모로서의정체성 위기를 마주하게 되었으나 수반된 질문을 직면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3) 입양부모로서의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통해 자기 인식이 명확해진 연구자는 입양자녀를 자신과 분리된 타인으로 온전히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관점 변화가 생겼다.
4)연구자의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은 장시간에 걸쳐 삶과 함께 유동적으로 변화 발전하는 과정적 경험이며, 입양에 관한 지식, 입양삼자 당사자들 간의 연대, 가정 내의 상호작용이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의 촉진적 요소가 되었다.
5)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입양이 연구자에게는 ‘연결’을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나. 입양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발표: 소성숙)
1) 주 1회, 3시간 총 15주 과정
2) 15과목으로 구성
4. 토론내용:
가.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입양모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솔직하게 돌아보며 입양 생태계 속에서 의미있는 관계를 발견하였다.
-입양모의 내적 세계를 탐구하고, 입양 자녀와의 연결됨을 인식하여 혼란스러움 속에서 모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해 나갔다.
-입양모들에게 자신의 동기 및 입양모로서의 정체감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모델이 되어주었다.
-생애 주기 과정 중에 있으므로 입양모의 정체성 및 관점은 또 변화될 것이다.
나. 입양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소성숙)
-입양 개론을 시작으로 10가지 입양 과목을 학습한다.
-강의법과 관련된 5과목을 수강한다.
-각 대상에 맞게 각자의 강의안을 완성하여 예비 강의를 시행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5. 성과/결과:
-입양모 정체성 과정을 심리 사회적으로 살펴봄
-입양모 심리 사회적 지원체계의 기틀이 마련됨
-입양문화강사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강의 계획을 수립함
◎차기 계획: 6월 19일
1. 목표: 입양 연구
2. 주제: 입양 논문 & 입양문화강사 프로그램 협의
3. 진행내용:
가.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전세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2022) (발표: 김다진)
1) 입양부모로의 전환 초반에 연구자는 외재화된 집단적 입양부모 정체성을 자신과 동일시하였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내면 세계를 향해 중심축을 이동하여 개별화된 입양부모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2) 연구자는 입양부모로서의정체성 위기를 마주하게 되었으나 수반된 질문을 직면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3) 입양부모로서의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통해 자기 인식이 명확해진 연구자는 입양자녀를 자신과 분리된 타인으로 온전히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관점 변화가 생겼다.
4)연구자의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은 장시간에 걸쳐 삶과 함께 유동적으로 변화 발전하는 과정적 경험이며, 입양에 관한 지식, 입양삼자 당사자들 간의 연대, 가정 내의 상호작용이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의 촉진적 요소가 되었다.
5)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입양이 연구자에게는 ‘연결’을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나. 입양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발표: 소성숙)
1) 주 1회, 3시간 총 15주 과정
2) 15과목으로 구성
4. 토론내용:
가. ‘입양부모 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입양모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솔직하게 돌아보며 입양 생태계 속에서 의미있는 관계를 발견하였다.
-입양모의 내적 세계를 탐구하고, 입양 자녀와의 연결됨을 인식하여 혼란스러움 속에서 모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해 나갔다.
-입양모들에게 자신의 동기 및 입양모로서의 정체감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모델이 되어주었다.
-생애 주기 과정 중에 있으므로 입양모의 정체성 및 관점은 또 변화될 것이다.
나. 입양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소성숙)
-입양 개론을 시작으로 10가지 입양 과목을 학습한다.
-강의법과 관련된 5과목을 수강한다.
-각 대상에 맞게 각자의 강의안을 완성하여 예비 강의를 시행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5. 성과/결과:
-입양모 정체성 과정을 심리 사회적으로 살펴봄
-입양모 심리 사회적 지원체계의 기틀이 마련됨
-입양문화강사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강의 계획을 수립함
◎차기 계획: 6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