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뉴턴 베리어 지음 | 뿌리의집 옮김 | 뿌리의 집 | 2013년 02월 15일
목차
들어가는 말-내 딸의 이야기...18
1부 상처
1장-입양이라는 경험 ...29
신생아들의 놀라운 인지력 │ 항시적 양육자의 필요성 │ 입양의 문제들 │ 외적 요인들 │ 입양은 개념 │ 입양은 경험이다 │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 유기와 입양의 트라우마 │ 생일 그리고 생일 파티
2장-친생모와의 관계 ...44
엄마와 아이 간의 불가사의한 연결고리 │ 엄마 대 주양육자 │ 애착과 유대감 형성 │ 끊어진 유대감 │ “엄마가 보고 싶어요.” │ 친생모에 대한 환상 │ 이해하는 것과 느끼는 것의 차이 │ 사랑과 유기에 얽힌 혼동
v3장-어머니를 잃는 것과 자아의식 ...57
이중적 단일체 │ 연속적 유대의 파괴 │ 조기 자아 발달 │ 이상적 자아 │ 자아를 찾아서 │ 거짓 자기 │ 거부 그리고 기본 신뢰
4장-상실과 애도의 과정 ...71
애도의 필요성 │ 비탄으로 인한 무의식적 시도 │ 비탄의 단계 │ 닥쳐올 상실에 대한 방어 │ 상실에 대한 정신적 대응 │ 근본적 책임 │ 정신의 죽음
2부 원초적 상처의 징후들
5장-애정, 신뢰, 입양모 ...87
입양모의 한계 │ 누가 유기자인가 │ 분열 │ 특별한 나 │ 사랑과 증오의 이미지 │ 신뢰의 문제 │ 사랑은 위험한 것 │ 입양부와의 관계 │ 이분법: 행동화와 억제 │ 길러준 어머니 │ 자아를 가질 권리
6장-핵심 문제: 버려짐과 상실 ... 105
상실의 무게 │ 반응의 병리성 │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유아기의 이별과 상실의 징후 │ 감각의 무력화 │ 지금 떠난다면, 영원히 아웃이야! │ 두려움은 공상이 아니다 │ 절도와 저장 │ 두려움이 낳는 통제 욕구
7장-버려짐, 믿음, 친밀감과 충성심 ... 120
관계의 어려움 │ 거부에 대한 두려움 │ 신뢰와 친밀함의 문제 │ 충성심
8장-죄책감, 수치심, 힘과 지배, 자아 ... 134
죄책감과 수치심 │ 지배력과 통제력 │ 정체성
3부 치유
9장-아이에게 가장 이로운 것 ... 153
최초 단계 │ 의식적 결단의 필요성 │ 착취의 이면: 분노와 좌절감 │ 새로운 접근법 │ 입양부모에게 필요한 것 │ 아이들은 생활을 변화 시킨다
10장-새로운 가족: 신생아 ... 161
아기를 집으로 데려올 때 │ 상실을 견디는 법 │ 입양에 대해 말하기 │ 차이를 인정하기 │ 아이들의 저항 │ 놀이 시간 │ 그림, 시, 음악, 춤 │ 분리불안증 │ 훈육의 의미 │ 청소년기의 행동 한계 │ 입양 부모의 최우선 철칙 │ 5가지 철칙
11장-연장아 입양 ... 183
학대 1년, 사랑 1년 │ 신체 접촉의 문제 │ 관계에 대한 두려움 │ 단호해지기 │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 │ 교사의 책임 │ 친부모에 관해 이야기하기 │ 상처받은 부모 │ 입양부모 치유하기 │ 친생자녀 돌보기 │ 아버지에 관해서 │ 부전자전 │ 어머니를 지지하는 아버지 │ 입양부모는 변화를 일으킨다
12장-치유의 재회 ...200
뿌리 찾기-모든 사람의 감정적 부담 │ 나쁜 놈 증후군: ‘나쁜 놈’이 되는 입양인 │ ‘나쁜 년’이 되는 친생모 │ 친생모를 이해하기 │ 이중의 상실 │ 확대가족이 받는 영향 │ 친생모가 핵가족에서 겪는 문제점 │ 재결합은 치유 과정의 일부 │ 역할의 전환: ‘나쁜 놈들’이 되는 입양부모 │ 뿌리 찾기와 입양모 │ 입양부모에 대한 친생모의 감정 │ 중간에 낀 입양인 │ 입양삼자 치유하기
13장-재회 과정 ...221
재회를 둘러싼 감정적 분위기 이해하기 │ 퇴행 │ 유전적인 성적 매력 │ 근친상간 │ 생물학적 형제에 대한 성적 감정 │ 화해로서의 재회 │ 다가가기 힘든 입양인 │ 주저하는 친생모 │ 재회 과정에서 끈기와 인내, 이해의 필요성
14장-자율권 ...237
피해자 입장에서 벗어나기 │ 오랜 믿음에 도전하기 │ 감정 표현/행동의 통제 │ 성격과 행동의 차이 │ 상실을 인식하고 애도하기 │ 통합을 방해하는 세 가지 장벽 │ 힘을 되찾기 │ 적극적인 태도 │ 영적인 길 찾기
4부 결론
15장-원초적 상처의 다른 영향들 ...262
친권 포기가 다른 사람들에게 남기는 영향 │ 대리모 신화 │ 성실의 필요성 │ 사악한 계모 │ 태아기 알코올 증후군과 입양아 │ 낙태 문제 │ 어려운 선택 │ 진실과 지원은 더 많이, 비난은 더 적게 │ 진실한 믿음인가 편의인가
16장-제 11계명: 너희 자녀를 공경하라 ...279
통념에 대한 도전 │ 어머니와의 관계 │ 아이의 행복을 우선시하기 │ 안전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입양의 미래 │ 기대치 낮추기 │ 사회적 통념은 변해야 한다. │ 신비로운 측면
참고 문헌...289
추천 도서...291
책 속으로
브래즐턴이 언급한 신생아의 경험에는 자궁 속에서 형성된 모자간의 유대도 포함된다. 이제 많은 과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이 유대감 형성은 출생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자궁에서 시작해 출생 후 유대감 형성기 내내 이어지는 육체적ㆍ심리적ㆍ정신적 연속체(Continuum)란 것을 이해한다. 그런데 만약 생물학적 어머니로부터 격리되면서 이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 중단될 경우, 포기와 상실의 경험이 지워지지 않는 상처로 아이들의 무의식 속에 새겨진다. 나는 이것을 ‘원초적 상처’라고 일컫는다.(1장, 26쪽)
낸시 뉴턴 베리어 지음 | 뿌리의집 옮김 | 뿌리의 집 | 2013년 02월 15일
목차
들어가는 말-내 딸의 이야기...18
1부 상처
1장-입양이라는 경험 ...29
신생아들의 놀라운 인지력 │ 항시적 양육자의 필요성 │ 입양의 문제들 │ 외적 요인들 │ 입양은 개념 │ 입양은 경험이다 │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 유기와 입양의 트라우마 │ 생일 그리고 생일 파티
2장-친생모와의 관계 ...44
엄마와 아이 간의 불가사의한 연결고리 │ 엄마 대 주양육자 │ 애착과 유대감 형성 │ 끊어진 유대감 │ “엄마가 보고 싶어요.” │ 친생모에 대한 환상 │ 이해하는 것과 느끼는 것의 차이 │ 사랑과 유기에 얽힌 혼동
v3장-어머니를 잃는 것과 자아의식 ...57
이중적 단일체 │ 연속적 유대의 파괴 │ 조기 자아 발달 │ 이상적 자아 │ 자아를 찾아서 │ 거짓 자기 │ 거부 그리고 기본 신뢰
4장-상실과 애도의 과정 ...71
애도의 필요성 │ 비탄으로 인한 무의식적 시도 │ 비탄의 단계 │ 닥쳐올 상실에 대한 방어 │ 상실에 대한 정신적 대응 │ 근본적 책임 │ 정신의 죽음
2부 원초적 상처의 징후들
5장-애정, 신뢰, 입양모 ...87
입양모의 한계 │ 누가 유기자인가 │ 분열 │ 특별한 나 │ 사랑과 증오의 이미지 │ 신뢰의 문제 │ 사랑은 위험한 것 │ 입양부와의 관계 │ 이분법: 행동화와 억제 │ 길러준 어머니 │ 자아를 가질 권리
6장-핵심 문제: 버려짐과 상실 ... 105
상실의 무게 │ 반응의 병리성 │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유아기의 이별과 상실의 징후 │ 감각의 무력화 │ 지금 떠난다면, 영원히 아웃이야! │ 두려움은 공상이 아니다 │ 절도와 저장 │ 두려움이 낳는 통제 욕구
7장-버려짐, 믿음, 친밀감과 충성심 ... 120
관계의 어려움 │ 거부에 대한 두려움 │ 신뢰와 친밀함의 문제 │ 충성심
8장-죄책감, 수치심, 힘과 지배, 자아 ... 134
죄책감과 수치심 │ 지배력과 통제력 │ 정체성
3부 치유
9장-아이에게 가장 이로운 것 ... 153
최초 단계 │ 의식적 결단의 필요성 │ 착취의 이면: 분노와 좌절감 │ 새로운 접근법 │ 입양부모에게 필요한 것 │ 아이들은 생활을 변화 시킨다
10장-새로운 가족: 신생아 ... 161
아기를 집으로 데려올 때 │ 상실을 견디는 법 │ 입양에 대해 말하기 │ 차이를 인정하기 │ 아이들의 저항 │ 놀이 시간 │ 그림, 시, 음악, 춤 │ 분리불안증 │ 훈육의 의미 │ 청소년기의 행동 한계 │ 입양 부모의 최우선 철칙 │ 5가지 철칙
11장-연장아 입양 ... 183
학대 1년, 사랑 1년 │ 신체 접촉의 문제 │ 관계에 대한 두려움 │ 단호해지기 │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 │ 교사의 책임 │ 친부모에 관해 이야기하기 │ 상처받은 부모 │ 입양부모 치유하기 │ 친생자녀 돌보기 │ 아버지에 관해서 │ 부전자전 │ 어머니를 지지하는 아버지 │ 입양부모는 변화를 일으킨다
12장-치유의 재회 ...200
뿌리 찾기-모든 사람의 감정적 부담 │ 나쁜 놈 증후군: ‘나쁜 놈’이 되는 입양인 │ ‘나쁜 년’이 되는 친생모 │ 친생모를 이해하기 │ 이중의 상실 │ 확대가족이 받는 영향 │ 친생모가 핵가족에서 겪는 문제점 │ 재결합은 치유 과정의 일부 │ 역할의 전환: ‘나쁜 놈들’이 되는 입양부모 │ 뿌리 찾기와 입양모 │ 입양부모에 대한 친생모의 감정 │ 중간에 낀 입양인 │ 입양삼자 치유하기
13장-재회 과정 ...221
재회를 둘러싼 감정적 분위기 이해하기 │ 퇴행 │ 유전적인 성적 매력 │ 근친상간 │ 생물학적 형제에 대한 성적 감정 │ 화해로서의 재회 │ 다가가기 힘든 입양인 │ 주저하는 친생모 │ 재회 과정에서 끈기와 인내, 이해의 필요성
14장-자율권 ...237
피해자 입장에서 벗어나기 │ 오랜 믿음에 도전하기 │ 감정 표현/행동의 통제 │ 성격과 행동의 차이 │ 상실을 인식하고 애도하기 │ 통합을 방해하는 세 가지 장벽 │ 힘을 되찾기 │ 적극적인 태도 │ 영적인 길 찾기
4부 결론
15장-원초적 상처의 다른 영향들 ...262
친권 포기가 다른 사람들에게 남기는 영향 │ 대리모 신화 │ 성실의 필요성 │ 사악한 계모 │ 태아기 알코올 증후군과 입양아 │ 낙태 문제 │ 어려운 선택 │ 진실과 지원은 더 많이, 비난은 더 적게 │ 진실한 믿음인가 편의인가
16장-제 11계명: 너희 자녀를 공경하라 ...279
통념에 대한 도전 │ 어머니와의 관계 │ 아이의 행복을 우선시하기 │ 안전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입양의 미래 │ 기대치 낮추기 │ 사회적 통념은 변해야 한다. │ 신비로운 측면
참고 문헌...289
추천 도서...291
책 속으로
브래즐턴이 언급한 신생아의 경험에는 자궁 속에서 형성된 모자간의 유대도 포함된다. 이제 많은 과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이 유대감 형성은 출생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자궁에서 시작해 출생 후 유대감 형성기 내내 이어지는 육체적ㆍ심리적ㆍ정신적 연속체(Continuum)란 것을 이해한다. 그런데 만약 생물학적 어머니로부터 격리되면서 이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 중단될 경우, 포기와 상실의 경험이 지워지지 않는 상처로 아이들의 무의식 속에 새겨진다. 나는 이것을 ‘원초적 상처’라고 일컫는다.(1장, 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