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모임] 5월 세목회
2023년 5월 18일 오후8시~10시
주제 : <부모가 알아야 할 입양인의 속마음 20가지> 도서나눔
5장 "상실을 애도하지 않으면 부모님이나 타인의 사랑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어져요."
①입양상실을 애도하지 않으면 부모나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받아들이거나 애착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②입양인이 애도하지 못하는 이유
A. 슬퍼할 필요가 없다고 메시지를 주는 사회분위기
B. 입양인 스스로 애도할 필요가 없다고 느낌
C. 부모가 표현하지 못한 욕구에 대해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기 때문
③애도 후의 축복
입양이 표시나 흉터가 아닌, 선물로 인식하는 것을 배운다. 내 존재 자체가 선물이므로 입양도 선물임을 알게 된다.
6장 "해결되지 않은 나의 슬픔이 부모님을 향한 분노로 나타날 수 있어요."
①입양인의 분노
- 타인을 향한 격렬한 분노로 나타날 수도, 어둡고 축축한 곳에서 서서히 자라는 이끼와 같이 은근히 드러날 수도 있다.
- 입양되었다는 분노, 남들과 다르다는 분노, 자신의 근원을 알 수 없다는 무력감에서 오는 분노, 가족의 부정적인 분위기로 인해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분노
- 급성, 만성, 가면우울증으로 나타난다.
②무엇이 입양인의 분노를 자극하는가?
- 존중이 부족하거나 ‘난 너의 가치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어’라는 메시지가 전해질 때 분노를 느낀다.
- 자신이 포기되거나 거절되었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대체로 생부모에게 화가 나 있다.
- 자신에게 무슨 문제가 있어서 입양보내졌다고 생각을 하는 아이들은 그들 자신에게 화가 나 있다.
③ 부모가 할 수 있는 것
- 자녀를 안심시켜라
- 자녀가 화내는 것을 용납하라
- 유능한 전문가를 찾으라
- 창의적인 치료법(미술치료 등)들을 이용하라
7장 "나의 상실을 슬퍼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입양에 대한 나의 감정과 접촉하고 인정하는 법을 가르쳐 주세요."
①자신의 실제 입양배경 이야기를 듣고 싶은 자녀의 욕구가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럴 때는 아이가 입양을 자신의 것으로 확실히 느끼고 인식할 때까지 자녀에게 입양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줄 필요가 있다. 입양이야기를 반복하여 말하는 동안 치유가 진행된다. 반복해서 이야기하는 동안 자녀는 질문을 떠올리고 고통스러운 감정과 접촉하며, 필수적인 애도의 과정 속으로 한걸음 더 나아간다.
②부모가 할 수 있는 것
- 자녀가 부모의 신체 일부로 느껴질 만큼 많이 안아주기
- 라이프북, 생애상자 만들기
- 다른 입양인들과 교류하기
- 자녀의 강점 상기시키기
[지지모임] 5월 세목회
2023년 5월 18일 오후8시~10시
주제 : <부모가 알아야 할 입양인의 속마음 20가지> 도서나눔
5장 "상실을 애도하지 않으면 부모님이나 타인의 사랑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어져요."
①입양상실을 애도하지 않으면 부모나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받아들이거나 애착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②입양인이 애도하지 못하는 이유
A. 슬퍼할 필요가 없다고 메시지를 주는 사회분위기
B. 입양인 스스로 애도할 필요가 없다고 느낌
C. 부모가 표현하지 못한 욕구에 대해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기 때문
③애도 후의 축복
입양이 표시나 흉터가 아닌, 선물로 인식하는 것을 배운다. 내 존재 자체가 선물이므로 입양도 선물임을 알게 된다.
6장 "해결되지 않은 나의 슬픔이 부모님을 향한 분노로 나타날 수 있어요."
①입양인의 분노
- 타인을 향한 격렬한 분노로 나타날 수도, 어둡고 축축한 곳에서 서서히 자라는 이끼와 같이 은근히 드러날 수도 있다.
- 입양되었다는 분노, 남들과 다르다는 분노, 자신의 근원을 알 수 없다는 무력감에서 오는 분노, 가족의 부정적인 분위기로 인해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분노
- 급성, 만성, 가면우울증으로 나타난다.
②무엇이 입양인의 분노를 자극하는가?
- 존중이 부족하거나 ‘난 너의 가치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어’라는 메시지가 전해질 때 분노를 느낀다.
- 자신이 포기되거나 거절되었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대체로 생부모에게 화가 나 있다.
- 자신에게 무슨 문제가 있어서 입양보내졌다고 생각을 하는 아이들은 그들 자신에게 화가 나 있다.
③ 부모가 할 수 있는 것
- 자녀를 안심시켜라
- 자녀가 화내는 것을 용납하라
- 유능한 전문가를 찾으라
- 창의적인 치료법(미술치료 등)들을 이용하라
7장 "나의 상실을 슬퍼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입양에 대한 나의 감정과 접촉하고 인정하는 법을 가르쳐 주세요."
①자신의 실제 입양배경 이야기를 듣고 싶은 자녀의 욕구가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럴 때는 아이가 입양을 자신의 것으로 확실히 느끼고 인식할 때까지 자녀에게 입양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줄 필요가 있다. 입양이야기를 반복하여 말하는 동안 치유가 진행된다. 반복해서 이야기하는 동안 자녀는 질문을 떠올리고 고통스러운 감정과 접촉하며, 필수적인 애도의 과정 속으로 한걸음 더 나아간다.
②부모가 할 수 있는 것
- 자녀가 부모의 신체 일부로 느껴질 만큼 많이 안아주기
- 라이프북, 생애상자 만들기
- 다른 입양인들과 교류하기
- 자녀의 강점 상기시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