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 입양연구회]
이대인(2023), 열정도 병인가? 열정이 양극성 증상에 미치는 병리적 영향과 그 완화요인
[연구1] 열정과 양극성 증상의 관계: 정서적 불안정성의 매개효과와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1) 열정의 이원론적 모델(DMP: Dualistic Model of Passion; Vallerand, 2015; Vallerand et al., 2003): 열정을 가진 사람은 풍요로운 삶을 살 수도 폐한 삶을 살 수도 있음.
(1) 조화 열정 (Harmonious Passion): 개인이 안전한 자아의식과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마음 챙김적이고 비방어적인 방식으로 열정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St-Louis, Verner-Filion, Bergeron, & Vallerand, 2018) 위협이 거의 경험되지 않으며(St‑Louis, Rapaport, Poirier, Vallerand & Dandeneau, 2021) 개방적인 활동 참여로 긍정 정서, 활력, 웰빙(eudaimonic well-being)과 같은 많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짐(Vallerand, 2015)
(2) 강박 열정(Obsessive Passion): 열정 활동에 압도되어 다른 중요한 자기 요소들 및 삶의 측면들과 갈등이 발생하고(St‑Louis et al., 2021) 때때로 긍정적인 결과(짧은 긍정 정서 및 단기적인 성과 향상)로 이어질 수 있지만 주로 부정적인 결과(부정 정서, 관계 갈등, 일빙(ill-being))들을 초래함 (Vallerand, 2015).
2) 강박열정과 양극성 장애: 강박 열정의 불안정하고 낮은 자존감이 경직된 형태의 열정 활동 에 몰두하여 상승행동으로 이어지다가 자존감이나 사회적 수용 및 외재 적 이익 등이 수반되지 않을 때는 상반되는 극단적 평가로 인해 하강행동으로 이어 지는 기분 기복을 형성하여 양극성 장애를 초래할 수 있음.
3) 정서적 불안정성: 좋고 나쁜 기분을 오가는 가변성으로 기분이 쉽게 바뀌는 현상 을 뜻하고(황성훈, 2015), 빈번하고 극단적인 정서 변화가 특징이며 횡단적 증상 으로서 다양한 정신 병리를 관통해서 나타남.
4) 결과 및 논의: 강박 열정은 조건부 자존감(Mageau et al., 2011; Vallerand et al., 2010), 낮은 마음챙김(St-Louis et al., 2018)과 높은 반추(Carpentier et al., 2012; Vallerand et al., 2003)로 인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활동 참여의 질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기에 역기능적으로 활동에 의해 통제되는 조절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따라서 상위자각하고 탈동일시하며 반응성을 낮추는 적응적 정서 조절 전략인 탈중심화가 필요함.
[2025-3 입양연구회]
이대인(2023), 열정도 병인가? 열정이 양극성 증상에 미치는 병리적 영향과 그 완화요인
[연구1] 열정과 양극성 증상의 관계: 정서적 불안정성의 매개효과와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1) 열정의 이원론적 모델(DMP: Dualistic Model of Passion; Vallerand, 2015; Vallerand et al., 2003): 열정을 가진 사람은 풍요로운 삶을 살 수도 폐한 삶을 살 수도 있음.
(1) 조화 열정 (Harmonious Passion): 개인이 안전한 자아의식과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마음 챙김적이고 비방어적인 방식으로 열정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St-Louis, Verner-Filion, Bergeron, & Vallerand, 2018) 위협이 거의 경험되지 않으며(St‑Louis, Rapaport, Poirier, Vallerand & Dandeneau, 2021) 개방적인 활동 참여로 긍정 정서, 활력, 웰빙(eudaimonic well-being)과 같은 많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짐(Vallerand, 2015)
(2) 강박 열정(Obsessive Passion): 열정 활동에 압도되어 다른 중요한 자기 요소들 및 삶의 측면들과 갈등이 발생하고(St‑Louis et al., 2021) 때때로 긍정적인 결과(짧은 긍정 정서 및 단기적인 성과 향상)로 이어질 수 있지만 주로 부정적인 결과(부정 정서, 관계 갈등, 일빙(ill-being))들을 초래함 (Vallerand, 2015).
2) 강박열정과 양극성 장애: 강박 열정의 불안정하고 낮은 자존감이 경직된 형태의 열정 활동 에 몰두하여 상승행동으로 이어지다가 자존감이나 사회적 수용 및 외재 적 이익 등이 수반되지 않을 때는 상반되는 극단적 평가로 인해 하강행동으로 이어 지는 기분 기복을 형성하여 양극성 장애를 초래할 수 있음.
3) 정서적 불안정성: 좋고 나쁜 기분을 오가는 가변성으로 기분이 쉽게 바뀌는 현상 을 뜻하고(황성훈, 2015), 빈번하고 극단적인 정서 변화가 특징이며 횡단적 증상 으로서 다양한 정신 병리를 관통해서 나타남.
4) 결과 및 논의: 강박 열정은 조건부 자존감(Mageau et al., 2011; Vallerand et al., 2010), 낮은 마음챙김(St-Louis et al., 2018)과 높은 반추(Carpentier et al., 2012; Vallerand et al., 2003)로 인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활동 참여의 질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기에 역기능적으로 활동에 의해 통제되는 조절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따라서 상위자각하고 탈동일시하며 반응성을 낮추는 적응적 정서 조절 전략인 탈중심화가 필요함.
[연구2] 행동 활성화 체계와 양극성 증상의 관계에서 이원 열정과 향유의 다중매개 효과
1) 행동활성화체계(BAS): BAS는 보상 그 자체나 보상에 대한 단서가 주어지는 경우 목표 추구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체계로, BAS 기능이 극단적 상태 변화 상태인 BAS 과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를 오가는 것이 양극성 장애의 양방향적 기분 주기를 설명함(Depue & Iacono, 1989).
2) 향유: 그것을 즐기고 있음을 의식적으로 알아차린다 는 의미로, 자신의 삶에 대해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긍정적 과정(Bryant와 Veroff(2007)).
3) 결과 및 논의: 향 유의 매개효과를 통해 BAS가 보상 및 목표추구에 민감하고 긍정 정서 반응 성이 높아서(Depue & Iacono, 1989; Johnson et al., 2000) 적응적 긍정 정서 조절 전략인 향유로 이어지면 양극성 증상이 감소됨.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양모인 저자는 자신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심리적 이해는 입양자녀에 대한 수용으로 연결되었음.
*입양아동 및 청소년 중에도 이러한 양극성 증상(정서적 불안정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탈중심화와 향유를 통해 정서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