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입양연구회(KAR)


국내외 입양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해 관련 자료의 학습과 토론을 통해 입양에 대한 이론과 경험을 통합하고, 이를 토대로 입양 관련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주제에 대해 연구로 나아가는 전문 활동입니다.

입양부모와 입양에 대해 관심을 갖는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모임입니다.

2024-06 입양연구회

김다진
2024-06-18

 가. 이설아(2013), 유자녀 입양모의 입양동기에 관한 사례연구. (발표: 홍민자) 

1) 국내 공개입양 부모 중 친생자녀가 있는 유자녀 입양모 9명을 대상으로 입양동기에 대해 연구함.

2) 유자녀 입양모의 어린시절 원가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했는가?



3) 친생자녀를 통한 모성경험은 어떠했는가?


4) 입양을 처음 결심한 요인은 무엇인가?


5) 입양가정의 건강한 적응을 위해서는 잠재적인 갈등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 요인으로 입양동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입양부모의 내면아이/내면 부모가 내적표상, 대상표상, 투사적 동일시 등을 통해 아동과의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입양을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으로 보면, 원가족에서 분리된 입양아동의 내적표상, 대상표상을 건강하게 재형성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입양부모의 내적표상, 대상표상이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6) 이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부정적 자기표상을 보고하는데, 긍정적인 자기표상을 보고하는 것은 없는지, 출산으로 이미 모성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입양으로 다시 모성역할을 시도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성 역할 재시도에서 출산이 아닌 입양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더 연구가 되길 바란다.


 나. 아동인권 (발표: 소성숙) 

1) 1) 1) 아동의 인권과 관련하여 국제, 국내 관련 법규를 잘 정리하였으며, 역사적인 흐름을 볼 수 있었음.

2) 법과 관련된 부분이라 내용이 어렵고 딱딱할 수 밖에 없으나, 사례 등을 제시하 여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음.

3) 우리나라 현 시점에서 아동중심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내용을 추가할 수

있음.

 

◎차기 계획: 7월 15일

-논문 스터디, 2024 입양문화교육 교재개발-입양의 사회 문화